백량금 - 여객선이 결항되는 강풍우 속에서 발견한 야생의 백량금 동백나무겨우살이를 보러 찾아간 보길도 또다른 꽃은 자금우와 백량금이었다. 첫날 정자리고택에서 오후빛에 반짝이던 백량금 둘째날 강풍속의 탐사에서 야생으로 발견한 백량금의 희열 세쨋날 보옥리 뒷산에서 본 아침빛의 백량금 그리고 네째날 격자봉 산행에서 본 백량금 화초로만 ..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3.15
자금우 - 키작은 나무에 앙증맞은 빨간열매 동백나무겨우살이를 찾으러간 보길도 여행 그 곳에서 관상용으로만 알았던 백량금, 자금우를 야생으로 보았다. 작은 키에 빨간 열매를 단 자금우가 첫날 기쁨을 주었다. 백량금, 자금우, 산호수는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상록소관목 3총사이다. 모두 자금우과로 열매가 9월부터 4월까지 반..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3.13
동백나무겨우살이 - 보길도에 간 이유 동백나무겨우살이를 찾아 떠난 보길도 여행 1월에 가야하는데 2월말이 되어서야 겨우 기회를 잡았다. 2박3일의 일정이 강풍으로 하루를 더해 3박4일이 되었다. 그 덕에 보길도를 두루 살펴보았고 동백나무겨우살이도 실컷 보았다. 동백나무겨우살이는 철이 지나 많이 시들어있었다. 동백..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3.12
동백꽃 - 보길도 4일의 흔적 보길도의 공룡알해변 절정에 다달은 동백꽃 이곳 저곳 툭 하고 떨어진다. 가뭄을 견디고 강풍에 견디면서 피어난 동백꽃 후드득 떨어진다. 추락해서도 아름답다. 노란꽃술을 가진 완벽한 한송이 땅 위에서 피었다. 동백꽃은 떨어져서도 의연하다. 꽃말은 기다림~ 애절한 사랑~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3.09
나한송(羅漢松) - 어린 나무여~ 멋지게 커라 나한송은 나한송과의 상록소교목이다. 학명은 Podocarpus macrophyllus 중국, 일본에 자생하며 원산지에서는 높이가 5m에 달한다고 한다. 학명의 속명 Podocarpus는 그리스어 podos, pous(足) 및 carpos(果)의 합성어이며, 종명 macrophyllus는 '큰 잎의" 뜻이다. 즉, 나한송의 잎은 다른 침엽수보다 크며, 열매.. ♪ 산, 여행, 야생화/원예종, 관상종 2018.03.08
[2018.02.27~03.02] 보길도여행 (2) - 결항으로 선물한 날까지 알차게 보길도 여행 3일차 (2018-03-01) 보죽산, 공룡알해변, 곡우당 & 낙서재, 송시열글쓴바위, 예송리트레킹 비가 온 이튿날 새벽에 보죽산에 올랐으나 일출은 없었다. 아침을 먹고 나니 햇빛이다. 그러나 날아갈 듯한 바람 바람 바람 강풍에 이틀째 배는 뜨지 않고 바람과 추위와 싸우는 일정 그 .. ♪ 산, 여행, 야생화/여행기 2018.03.06
[2018.02.27~03.02] 보길도여행 (1) - 동백나무겨우살이를 찾아서 동백나무겨우살이가 보고싶었다. 겨울이 지나기전 겨우 기회를 잡았다. 거문도에서 처음 알았고 외연도 동백나무숲에서 그렇게도 찾았던 동백나무겨우살이, 드디어 보길도에서 보았다. ㅎㅎ 그렇게 2박3일을 계획했으나 강풍에 여객선이 결항되어 1박을 더하며 보길도 곳곳을 살펴보았.. ♪ 산, 여행, 야생화/여행기 2018.03.04
[2018-02-24] 삼악산 - 북한강의 붕어가 참 예쁘다. 정말 다리가 아리게 바빴던 한주를 보내고 새벽에 일어나 삼악산으로 달렸다. 이렇게 삶의 희망줄을 잡는다. 겨울의 삼악산은 처음이다. 바람 한 점 없는 날 날이 푹해 아이젠도 신지않았다. 북한강의 아름다운 모습을 본다. 붕어섬이 선명히 보인다. 삼악산은 어느 계절에 와도 참 멋지.. ♪ 산, 여행, 야생화/산행 & 꽃탐사 2018.02.25
[2018-02-17] 북한산 - 우이동~백운대~보국문~정릉 삼각산이 푸른하늘 아래 빛난다. 설렘을 갖고 올라가는 길이 멋지다. 백운대 정상에서 보는 파노라마 맑은 날씨에 멀리까지 선명하게 보인다. 북한산에 간다는 것만 결정하고 전철을 탔다. 전철에서 북한산 접근방법을 검색했다. 그 결과 찾아낸 우이신설선의 북한산우이역 신설동역에.. ♪ 산, 여행, 야생화/산행 & 꽃탐사 2018.02.19
복주머니란 - 설날, 복 많이 받으세요! 검룡소를 갔다 온 것이 벌써 십여 년이 넘은 것 같다. 그때 생태자연의 보고인 금대봉을 알았다. 이번엔 혹시 복주머니란과 산작약을 만나면 얼마나 좋을까? ​ 일말의 희망을 가지고 금대봉으로 향했다. 수풀 속에서 복주머니란을 발견하는 행운을 얻었다. 나에겐 금대봉 천상화원 기..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