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여행 216

[제주오름 198] 느지리오름 - 태아(胎兒)의 형체를 한 산책로를 가진 오름

한림읍 상명리에 있는 느지리오름 느조리오름, 망오름, 만조악(晩早岳) 등 여러 별칭이 있다. 느조리오름은 상명리의 옛 이름인 느지리에서 유래했다. 특이하게도 산책로는 태아(胎兒)의 형체를 닮았는데 일부러 새로 낸 길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있었던 옛길이라고 한다. 산책로 외곽부터 태아의 모양을 그리며 걸었다. (2022-02-14) 느지리오름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상명리 산5번지 규모 / 표고 225m 비고 85m 둘레 2,609m 형태 원형 오름 평가 / 추천 (다양한 등산로 좋고 안내 표지판 친절함)

[제주오름 196] 유건에오름 - 선비의 두건 위에 놓여진 산책길이 좋다.

제주의 오름 이름은 언듯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뜻을 알아야 그제서야 끄덕 끄덕 유건(儒巾)이라 말도 이제야 배웠다. 그 유건에오름을 향하는데 말이 반겨준다. 잘 다듬어진 산책길은 삼나무 숲으로 걷기 좋았다. 가끔 터지는 전망에 탄성도 지르면서~ (2022-02-09) 유건에오름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2302번지 규모 / 표고 190.2m 비고 72m 둘레 1740m 형태 원형 남동쪽의 주봉 외에 북쪽 · 서쪽 봉우리의 3개 봉우리로 이루어지고, 둘레 약 1,000m의 등성마루에 에워싸여 산상의 원형 분화구가 우묵하게 패어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오름 평가 / 추천 (숲속 산책길이 매우 좋고, 난산에코힐링코스와 연계된다.)

[제주오름 194, 195] 모구리오름, 모구리알오름 - 모구리야영장 옆의 걷기 좋은 산책로

성읍에서 성산으로 가는 길 우측편에 모구리야영장이 있다. 그 야영장을 지나 우측에 있는 모구리오름을 늘 지나쳤다. 그러다가 작은 오름 투어길에 이제서야 올랐다. 모구리야영장에 주차하고 잘 닥여진 산책길을 따라 모구리오름에 오르니 산불감시초소가 있고 멋진 풍경을 보여준다. 오름에 올라 바라보는 다른 오름들의 모습은 늘 경이롭다. 모구리오름을 내려와 모구리알오름으로 향한다. 산책로는 알오름을 거치지 않아 가시덤불을 뚫고 올라야 한다. 가장 높은 곳의 시그널 인증샷을 하고 내려왔다. (2022-02-09) 모구리오름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2960의 1번지 규모 / 표고 232m 비고 82m 둘레 2,327m 형태 발굽형 기록에 모골(毛骨), 모고리(毛古里), 모고악(毛古岳), 모구악(..

[제주오름 193] 밝은오름(동광) - 민둥산이라 밝은오름이라 하였건만 지금은 해송숲이라 검게 보인다.

동광6거리에서 검게 보이는 언덕이 보이는데 밝은오름이다. 옛날에는 민둥산이고 달처럼 환하게 보여 밝은오름이라 이름지어졌다고 한다. 지금은 농경지로 많이 훼손되었고 정상부의 해송숲만 남았다. 그런데 농경지는 정상까지 점령하였고 농경지 가운데 해송 한그루에 오르미들의 시그날이 걸렸다. 위치상으로 가장 높은 지점인 것이다. 너무 아쉬워 정상에서 반대방향으로 하산하며 밝은오름의 전체적인 모습으로 바라보면서 제주오름의 현실에 뭔가 달라져야함을 생각했다. (2022-02-08) 바람이 거세다 (동영상) 밝은오름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1138번지 규모 / 표고 290m 비고 40m 둘레 1,008m 형태 말굽형 제주 오름 중 밝은오름 명칭이 5개가 있다. 낮고 마을에 가까이 있다보니 대부분 ..

[제주오름 191] 북오름(동광) - 정상의 수선화 꽃밭에 홀딱 반했다.

북오름을 백과사전에서 검색해보면 구좌읍 덕천리의 북오름만 나온다. 지도에서 검색하면 안덕면 동광리의 북오름도 나온다. 동광리 북오름은 사람들이 잘 찾지않아서 그럴까? 오름 투어로 동광리 북오름을 가는데 길가에 수선화가 반겨준다. 북오름을 억새를 뚫고 올라가니 정상에 수선화 꽃밭이 전개되었다. 아름다운 풍경에 홀딱 반한 정상부의 시간이 황홀을 선사해 준다. 억새덤불을 뚫고 북오름을 내려와 분화구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가시덤불을 뚫고 철조망을 넘어 분화구에 접근했다. (2022-01-26) 북오름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산93번지 규모 / 표고 314.3m 비고 84m 둘레 1,444m 형태 말굽형 북을 닮아 북오름이다. 고악(鼓岳), 북악(北岳)으로도 불린다. 오름 평가 / 비추천..

[제주오름 189, 190] 달산봉, 제석오름 - 달산봉의 산책로 good이다.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달산봉 지그재그 산책로가 잘 다듬어져 있고 이정표와 약도가 곳곳에 있어 산책하기 아주 좋다. 옆에 있는 제석오름은 안내도 없고 찾는 사람도 적어 길이 희미하다. 달산봉, 제석오름 연계 투어로 가능해 올랐을 뿐이다. 달산봉에 오른 후 제석오름을 거쳐 다시 달산봉에 올라 둘레길을 걸었다. (2022-01-24) 달산봉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1043번지 일대 규모 / 표고 137m 비고 87m 둘레 1482m 형태 원추형 오름의 모양이 달처럼 생겼다하여 달산이라 하며 한라산에서 멀리 떨어진 오름이라하여 탈산(脫山)으로도 불린다. 이밖에 봉수대가 세워져있어 망오름이라고도 하며 탈산봉, 달산봉(達山峰)으로도 불려진다. 표선면 하천리 주민들에서는 마음의 고향과 같은 ..

[제주오름 188] 구산봉 - 서귀포 시내의 전망 좋은 작은 오름

서귀포시 하원동에 있는 작은 오름 봉우리 일부의 잔디밭에서 보는 한라산 전경이 압권이다. 구산봉 주위를 돌며 보는 풍경 또한 아름답다. 이렇게 가까운데 이렇게 좋은 오름이 있었던가? 비고가 69m에 불과해서 금방 오를 수 있다. 굿산망, 굿산봉으로도 불리니 이름 그대로 good이다. (2022-01-22) 구산봉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 1180-2번지 일대 규모 / 표고 174m 비고 69m 둘레 1,858m 형태 말굽형 구산봉 동쪽에는 하원동 마을이 있고, 서북쪽에는 회수리가 자리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이 오름에 설치했던 봉수를 없애면서, 구산봉(龜山烽)이라 한 것을 굴산봉(窟山峰)으로 표기했다가, 구산봉(拘山峰)으로 쓰는 상황까지 이른 적이 있다. 구산봉은 예로부터 ‘거옥 오롬’으로..

[제주오름 187] 송아오름 - 정상의 담팔수에 올라 풍경을 보았다.

닭(이계오름). 말(마오름)에 이어 송아지(송아오름)이다. 송아지 위에 올라타듯 이번에는 담팔수 나무를 타고 올라가 풍경을 보았다. 가시덤불 속 정상을 확인하기 어려워 나무에 올라간 이색 오름 탐사였다. 송아오름은 이계오름 곁에 있는 아주 작은 오름이다. 농경지가 오름 주위를 둘러싸고 오름 곁에 축대를 쌓았다. 송아오름은 펑퍼짐한 정상에 가시덤불로 덮여있다. (2022-01-21) 송아오름 풍경 (동영상) 송아오름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조수리 135번지 규모 / 표고 104m 비고 29m 둘레 747m 형태 말굽형 한경면 조수리 한양동 사거리 남쪽 도로변에 있으며, 완만한 사면의 등성마루는 심한 침식을 받아 원래의 형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으나 화구 남쪽방향이 터진 말굽형 분화구로 추..

[제주오름 186] 마오름 - 오름의 형상이 말을 닮아 마오름, 마악(馬岳), 마봉(馬峰)

저지리에서 저지오름과 이계오름 사잇길로 차를 타고가다 보면 오른쪽에 마오름이 있다. 오름의 형상이 말을 닮아 마악(馬岳) 또는 마봉(馬峰)이라고도 한다. 이계오름에서 바라보니 자그마한 동산이었다. 이계오름은 닭, 마오름은 말, 저지오름 주변에 동물이름 오름들이다. 그러나 동물 모습을 찾을 수 없으니, 나만 그런가? (2022-01-20) 마오름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산56 규모 / 해발 122m 비고 27m 둘레 914m 형태 말굽형 오름 평가 / 비추천 (안내도 없고 등산로로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