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살이 1340

[제주야생화 136] 절국대 - 뱀이 입을 벌려 먹이를 낚아채려는 모습의 꽃을 피운다.

미션처럼 찾은 제주의 절국대 모처럼 짱한 날씨에 꽃이 빛난다. 강원도에서 백두산에서 보았던 꽃 절굿대는 국화과 식물로 둥근 머리모양꽃차례로 남자색 꽃을 피우고 절국대는 현삼과 식물로 수상꽃차례로 노랑꽃을 피운다. 이름이 비슷하여 종종 헷갈리는 야생화이다. 2019-08-30 2019-09-0..

[제주야생화 135] 큰절굿대 - 잎에 굴곡이 심하고 가시가 억세다.

섭지코지에서 큰절굿대를 본 날 태풍경보에 파도는 높고 들풀은 휘날렸지만 큰절굿대는 굿굿했다. 절굿대에 비해 키는 작지만 억센 가시로 무장한 잎은 결각이 심하다. 제주 바람에 적응한 듯하다. 섭지코지 전망대 계단 좌우를 점령한 큰절굿대 군락에 환호하며 제주의 바람을 힘껏 들..

[제주야생화 133, 134] 좀싸리, 괭이싸리 - 빗속의 물방울 버전

연일 비가 내리던 9월 초순 이름을 모르는 싸리 종류를 연 이틀 만났다. 알아낸 이름은 좀싸리와 괭이싸리 좀싸리 학명 Lespedeza virgata (Thunb.) DC. 분류 콩과(Leguminosae) 싸리속(Lespedeza) 잎겨드랑이에서 실같은 꽃줄기가 올라와 흰꽃이 핀다. 괭이싸리 학명 Lespedeza pilosa (Thunb.) Siebold & Zucc. 분류 ..

[제주오름 51] 원물오름 - 넘어지고 3시간 후의 악! 갈비뼈의 찢어질 듯한 통증이여~

구름이 아주 많은 날 가까운 곳에 잠깐 갔다오려 고근산 뒷쪽으로 갔다. 그런데 딛은 돌이 무너져 엉덩방아를 찢는 듯하다가 앞으로 고꾸라졌다. 눈깜짝할 사이 팔이 까이고 렌즈가 쳐박혔다. 그래도 이왕 온 김에 꽃을 찍었다. 날씨는 구름이 없어지고 바람도 잔다. 그렇다면 원물오름에..

[제주야생화 132] 잔디갈고리 - 열매 꼬투리 끝에 갈고리가 있다.

어! 도둑놈의갈고리는 아닌데 뭐지? 그렇게 알게된 이름, 잔디갈고리 열매 꼬투리 끝에 갈고리가 있단다. 꽃은 9월 초에 총상꽃차례에 연한 홍자색으로 핀다. 숲속 깊숙히서 크게 자란 잔디갈고리 꽃이 인상깊다. 원래는 중산간지역 잔디밭에서 땅을 기면서 꽃줄기를 올린다고 한다. 열매..

[한라산 5] 관음사~정상~성판악, 단풍산행을 안개가 훼방놓았다.

한라산 단풍이 보고싶어 처음으로 관음사 코스를 출발했다. 늘 힘들게 내려오던 길을 여유있게 오른다. 원점비에 들려 특전사 장병 53명의 혼령들에 묵렴한 후 삼각봉대피소에 올라 가슴설레게 삼각봉 단풍을 본다. 그 순간 안개가 급습했고 정상에 오를 때까지 운무 속이었다. 한라산 정..

[제주오름 49,50] 동검은이오름, 문석이오름 - 전망 좋고, 억새의 물결이 좋다.

동검은이오름, 3번이나 코앞에 왔다 갔다. 그리고 좀더 멀리서 다른 코스의 입구를 보았다. 마음 먹고 동검은이오름을 오를려고 왔는데 비가내려 못갔다. 이튿날 다시 동검은이오름을 향했다. 전망이 아주 좋았다. 문석이오름의 억새가 돋보였다. 그래 문석이오름까지 오르자. 동검이오름 초입에서 만난 산행인과 함께 동검은이오름과 문석이오름을 올랐다. (2019-10-16) 동검은이오름 전경 동검은이오름 안내판 탐방로 방향 억새길 높은오름 / 열흘 전에 올랐다. 동검은이오름 탐방로입구 위치안내도 오름관리단체 안내 오르는 길 한라산과 동부 오름군 바늘엉겅퀴 당잔대 산부추 쇠서나물 동검은이오름에서 본 문석이오름 동검이오름에서 본 한라산 동검은이오름 정상 경관 안내 정상에서 본 다른 봉우리 제2봉 전망 안내 가장 멋진 풍..

[제주야생화 131] 자주땅귀개 - 철지난 귀한 꽃을 빗속에서 간신히 보다

올해는 비가 참 많이도 왔다. 철지난 꽃을 보는데도 비는 내렸다. 사진에서 보던 모습을 짐작한다. 본 것에 만족하며 흐뭇했다. 뜻밖에도 포충낭주머니까지... 빗속의 쇼라면 이해될까? 자주땅귀개 정말 작디 작은 것이 대부분 열매였고 꽃은 몇개 보이지 않았다. 자주땅귀개 포충낭 사진..

[제주야생화 130] 땅귀개 - 귀이개처럼 생긴 작은 놈이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작다고 얕보지 마라! 이래 봬도 식충식물이다~ 저 입이 안보이냐? 땅귀개 학명 Utricularia bifida L. 분류 통발과(Lentibulariaceae) 통발속(Utricularia)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벌레잡이 식물이다. 실같이 가는 땅속줄기가 땅속으로 뻗으며 포충대(捕蟲袋)가 군데군데 달린다. 8~9월에 꽃이 피고, ..

[제주야생화 129] 뚜껑덩굴 - 뚜껑이 열리며 씨앗이 떨어진다.

꽃도 예쁘고 열매도 신기하다. 습지에서 사는 뚜껑덩굴 뚜껑이 열리면서 씨앗이 떨어져서 뚜껑덩굴이다. 박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 풀이다. 박과 식물들은 대체로 왕성하게 자란다. 뚜껑덩굴은 다른 식물을 뒤덮어 피해를 주므로 생태교란종으로 분류한다. 뚜껑덩굴 뚜껑덩굴 꽃 뚜껑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