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살이 1338

[제주야생화 120] (흰)쥐꼬리망초 - 특이한 이름, 가련미의 극치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야생화 그 작은 꽃을 보면 귀엽기 그지없다. 그런데 이름도 특이한 쥐꼬리망초~ 쥐꼬리망초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꽃색은 분홍색인데 간혹 흰색도 보인다. 꽃말은 가련미의 극치~ 쥐꼬리망초 학명 Justicia procumbens 분류 쥐꼬리망초과(Acanthaceae) 쥐꼬리망초속(Justici..

[제주야생화 119] 좀쥐손이 - 잎은 어긋나며, 3갈래로 완전히 갈라진다.

한라산의 높은 숲이나 풀밭에서 자란다. 사려니숲길에서 보았다. 작은 꽃에 가녀린 느낌이었다. 줄기는 땅을 기다가 비스듬이 서고 다른 쥐손이풀과는 달리 잎이 어긋나며, 3갈래로 완전히 갈라진다. 좀쥐손이 학명 Geranium tripartitum R.Knuth 분류 쥐손이풀과(Geraniaceae) 쥐손이풀속(Geranium) 속..

[제주야생화 118] 좀갈매나무 - 꽃을 보고 열매를 보고 3번을 찾았다

한라산 기암 절벽을 보며 자라는 좀갈매나무 꽃을 찾고 열매를 보러 한라산을 3번 올랐다. 암꽃, 수꽃을 발견하니 얼마나 기분이 좋은지... 산철쭉이 피어나는 시절 좀갈매나무 꽃과 놀다 보니 삼형제오름의 멋진 실루엣을 선물받았고 열매를 보러 올라 다른 꽃들도 선물받았다. 산철쭉이 피어나는 시절 좀갈매나무도 꽃을 피운다. 좀갈매나무 꽃과 놀다보니 늦은 오후가 되었다. 삼형제오름의 멋진 실루엣을 선물받았다. (2019-06-05) 모처럼 맑은 날, 하늘도 멋지다. (2019-08-03) 삼방산, 형제섬, 송악산까지 선명히 보인다. (2019-09-24) 좀갈매나무 학명 Rhamnus taquetii (H.Lev. & Vaniot) H.Lev. 분류 갈매나무과(Rhamnaceae) 갈매나무속(Rhamnus) 제..

[제주야생화 116] 제주달구지풀 - 겹잎이 달구지의 바퀴살처럼 돌려난다.

한라산 높은 곳의 양지바른 풀밭에 줄기를 비스듬히 기면서 자라는 제주달구지풀 겹잎이 달구지의 바퀴살처럼 펴쳐져서 이름을 얻었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여러해살이 풀이다. 여름에 피는 홍자색의 꽃도 겹입처러 펼쳐진다. 그 작은 꽃을 풍경으로 잡느라 바짝 엎드리기도 했다. 제..

[제주야생화 115] 제주방울란 - 귀하디 귀한 방울난초 중 하나

방울란이 보고 싶었다. 제주방울란이 폈다는데 너무 늦게 찾았다. 비도 내리는 가운데... 뿌리에 달린 덩이줄기가 방울을 닮았단다. 방울난초, 애기방울난초, 제주방울란이 있는데 이중 제주방울란이 그래도 꽃객 가까이 있다.. 제주방울란 방울란 비교 (제주도 꽃나들이 / 이상능 저) 제..

[제주야생화 114] 털사철란 - 한라산 남쪽 지역에 자생한다.

추석 전에 연일 비가 내렸다. 털사철란을 빗속에서 보았다. 잎 가운데 붉은 줄이 선명하다. 추석을 쇠고도 뜻밖에 꽃이 남아있었다. 멋진 곳에 자리잡은 털사철란 그 옆에 많은 개체들이 모여 있었다. 빗속에서 처음으로 털사철란을 보았다. 두번째 볼 때도 빗속이었다. 며칠 후 다시 갔는..

[제주야생화 113] 사철란 - 사철 잎이 푸른 난초라는 이름이다.

사철 푸른 잎을 가진 난초라는 뜻의 사철란 제주에서 가장 흔하다는데 나에겐 드물게 보인다. 그것도 비가 내린 날이 많아 더욱 그렇다. 자세히 보면 예쁘다. 접사의 묘미를 바로 그 모습을 보는 것이다. 비오는 날, 우산을 쓰고서라도~ 사철란 학명 Goodyera schlechtendaliana Rchb.f. 분류 난초과(..

[제주야생화 112] 붉은사철란 - 사철란 중 가장 일찍 꽃을 피운다.

사철란 중 가장 일찍 꽃을 피운다. 작은 키에 큰꽃이 가분수 같다.' 꽃잎에 희미한 붉은색이 있다. 붉은사철란 학명 Goodyera macrantha Maxim. 분류 난초과(Orchidaceae) 사철란속(Goodyera) 추석 쇠고 2주만에 제주에 왔다. 기대했던 깔끔좁쌀풀은 꽃이 지고 열매를 맺었다. 긴 씨방 줄기를 예상했던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