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살이 1340

[제주야생화 23-2] 참나무겨우살이 - 요염함 뒤에 숨은 괴물

드디어 참나무겨우살이의 요염한 꽃을 보았다. 이렇게 예쁘게 유혹하는 꽃이 가을에 핀다. 그 열매가 겨울에 익으면 새가 먹고 씨를 옮긴다. 참나무겨우살이 꽃 (삼나무 기생) 참나무겨우살이 꽃 (떡갈나무 기생) 참나무겨우살이 열매 (참식나무 기생) 참나무겨우살이 열매(우), 참식나무 ..

[제주야생화 22-2] 동백나무겨우살이 - 꽃, 열매, 기생나무를 찾은 재미

동백나무겨우살이를 찾아 보길도여행도 했다. 제주에 와서도 동백나무겨우살이를 많이 찾았다. 그 작은 꽃도 접사하고, 영롱한 열매도 보았다. 동백나무겨우살이가 기생하는 나무들을 찾는다. 야생화를 취미로 갖는 것은 행복이다. 생활에 활력을 주는 솔솔한 재미~. 동백나무에 기생한..

[제주오름 48] 높은오름 - 360도 파노라마 전경 중 한라산과 육지의 섬이 압권이다.

용눈이오름, 손지오름, 다랑쉬오름에서 바라본 높은오름 동부지역에서 주위를 압도한다. 백미꽃 열매를 보러 늦게서야 찾아갔다. 백미꽃 열매는 보지 못했지만 맑은 날씨에 아름다운 전망을 보았다. 한라산과 오름군의 실루엣과 육지의 섬이 압권이었다. (2019-10-09) 용눈이오름에서 바라본 높은 오름 (2018-12-29) 중간산동로에서 구좌읍공설묘지 쪽으로 1.2km이다. ] 높은오름 안내 안내판이 있는 위치에서 입구를 찾아 헤멨다. 입구는 정작 구좌읍공설묘지 분향소 건물이 있는 곳에 있었다. 높은오름 탐방도 분향소 건물 높은오름 입구 공동묘지 사이로 올라간다. 쇠무릎 구좌읍공설묘지 저멀리 다랑쉬오름이 보인다. 풀고사리 터진 전망 산박하 수까치깨 방목하는 말 수까치깨 둥근이질풀 나비나물 용눈이오름(뒤)과 손..

[제주야생화 128] 섬사철란 - 사철란 중 가장 늦은 10월에 아름답게 피어났다.

사철란 중 가장 늦게 피어난다는 섬사철란 성질 급한 놈이 추석 전에 피어나 빗속에서 본 후 10월이 되어서야 제대로 된 섬사철란이 피어났다. 꽃봉오리가 많아 닷새후 다시 찾아갔던 곶자왈 깊은 곳 맑은 날인데도 나무 그늘에 어두운 빌레지역 여기 저기 섬사철란이 수줍게 인사한다. ..

[제주야생화 127] 개가시나무 - 도토리가 인도 타지마할의 원형 돔을 닮았다

개가시나무는 참나무과 상록수이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에 자생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서부지역에 극소수가 자생한다. 참나무과 나무이니 당연히 도토리가 달린다. 그 도토리 모양이 인도의 타지마할 원형 돔을 닮았다. 개가시나무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다. 개가시나무에 둥지튼 직박구리 동영상 어긋나며 가죽질이고 길이 5~12cm의 도피침상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둔하며 가장자리 상반부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개가시나무 학명 Quercus gilva Blume 분류 참나무과(Fagaceae) 참나무속(Quercus) 개가시나무 탐사에 많은 시간을 쏟았다. 그만큼 보고싶었고 알고싶었다. 지난 겨울부터 오늘까지 나무를 찾고, 꽃을 찾고, 열매를 찾으며~

[제주야생화 126] 기생여뀌 - 기생의 향기에 취한 시간은 행복했다.

기생여뀌는 향여뀌라고도 부른다. 식물체 전체에서 향기가 나기 때문이다. 연못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기생여뀌가 보고 싶어 달렸다. 한낮의 시간 기생여뀌와 조우했다. 기생의 향기에 취한 시간은 행복했다. 처음 조우한 기생여뀌 (2019-09-28) 기생여뀌의 향기가 그리워 다시 달려갔다. (20..

[제주야생화 125] 까마귀베개 - 꽃이 보고 싶어 안달이 났었다.

6년전 연석산 하산시 처음 본 까마귀베개 그 열매의 매력에 빠져 사진으로 추석인사도 했지 제주살이 와서 까마귀베개 꽃을 보고자 했다. 노로오름 꽃탐사 때 누군가 가지를 꺾어 길에 버렸다. 자잘한 꽃이 달렸는데 무슨 나무인지 몰랐다. 검색해본 결과 산황나무로 추정도 했다. 그러나..

[제주야생화 124] 좀향유 - 작아도 이렇게 작을 수가 있을까?

작아서 좀향유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실제보니 이렇게 작을 수가 있을까? 정말 작은 향유라 애기향유라고도 부른다. 한라산 중턱의 양지쪽 돌무더기 사이에 좀향유가 군락으로 마을을 이뤘다. 너무 늦게 보아 꽃보다 열매가 더 많았다. (2019-09-24) 좀향유 학명 Elsholtzia minima Nakai 분류 꿀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