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야생화 362

[제주야생화 318] 꼬마냉이 - 털옷을 껴입은 꼬마, 한라산에서 드물게 자생한다.

높은 산 동쪽 산자락 양지 쪽도 찬바람이 매섭다. 옷을 여미는 꽃객 털북숭이 꼬마가 나타났다. 꼬마도 추위를 많이 타나보다. 햇빛을 보고 웃는다. 꼬마냉이 학명 / Cardamine tanakae Franch. & Sav. 분류 / 십자화과(Cruciferae) 황새냉이속(Cardamine) 제주도의 고지대 숲속에서 드물게 자생한다. 전초에 털이 많고, 줄기잎은 3~7개의 홀수깃꼴겹잎이다. 2006년 미기록종으로 보고되었고, 아직 국생종에 등록되지 않았다.

[제주야생화 316] 탐라큰개별꽃 - 여러 개의 꽃이 겹꽃처럼 모여서 핀다.

처음 본 순간 연복초의 꽃차례를 떠올렸다. 여러 개의 꽃이 겹꽃처럼 모여피는 탐라큰개별꽃 제주 꽃객들에게 다화개별꽃으로 알려졌었다. 2019년 식물분류학회지에 탐라큰개별꽃으로 이름을 올렸다. 네장의 잎이 줄기 위에서 윤생으로 돌려나고 줄기에 털이 있다. 자생지가 넓어지길 기대한다. 탐라큰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var. palibiniana f. oreumiana 분류 / 석죽과(Caryophyllaceae) 개별꽃속(Pseudostellaria) 2019년 논문은 발표되었으나 아직 국생종에는 등록되지 않았다.

[제주야생화 315] 창덕제비꽃 - 열매를 맺지 못하는 서러움

4월말 창덕제비꽃의 열매를 찍으러 어렵게 다시 찾았다. 그런데 창덕제비꽃보다 늦게 꽃을 피운 다른 제비꽃들은 열매가 보이는데 정작 창덕제비꽃 군락을 이리저리 봐도 열매는 없다. 간신히 열매로 이어지지 못한 가려린 모습 몇개를 보았다. 창덕제비꽃은 창덕궁에서 발견되어 이름지어졌고 왜제비꽃과 남산제비꽃의 자연교잡종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포슽한 제주산딸기는 자연교잡종이라도 열매를 맺었는데 자연교잡종인 창덕제비꽃만은 열매를 맺지 못할까? 창덕궁에서 멀리 떨어진 제주에서 창덕제비꽃을 서러움을 보는듯 하다. 창덕제비꽃 학명 / Viola palatina Y. Lee 분류 /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남산제비꽃과 다른 제비꽃과의 잡종 현상은 자생지에서 매우 다양하게 발견된다. 이들을 새로운..

[제주야생화 전시] 바람꽃이 오널따라 잘도 곱닥허우다 - 참꽃나무, 나도은조롱, 한라천마 출품

4월이 어떻게 지나갔을까? 예년보다 10일 이상 빨리 꽃이 피는 바람에 제주살이 3년차 아마 가장 바쁘게 지난 것 같다. 거기에 제주야생화 전시회도 있었다. 참꽃나무, 나도은조롱, 한라천마를 출품하고도 늦게서야 가까스로 찾아볼 만큼 4월은 변화무쌍하였다. 전시물 슬라이드 (동영상)

[제주야생화 314] 제주산딸기 - 장딸기와 거문딸기의 자연교잡종

세월 참 빠르다. 4월이 후딱 지나가고 있다. 숲은 여름의 밀림이 되었다. 제주산딸기가 벌써 익었다. 모내기철에 산딸기를 따먹었던 추억이 있는데 말이다. 제주산딸기는 장딸기와 거문딸기의 자연교잡종이란다. 제주산딸기 학명 / Rubus nishimuranus 분류 / 분류 / 장미과(Rosaceae) 산딸기속(Rubus) 제주도에서 발견되었고 산딸기속 식물이라는 뜻의 이름이다. 제주산딸기는 장딸기와 거문딸기의 잡종으로 추정되는데 잎의 형태는 두 종의 중간형이고 꽃차례의 형태는 거문딸기와 비슷하다.

[제주야생화 모둠 9] 새우난초, 금새우난초 - 빛이 만들어준 환희, 광맥을 찾은 기쁨

지리산숲고사리에 빠져있는데 눈이 밝아진다. 멀리서 새우난초가 숲속으로 들어온 빛으로 단장을 했다. 얼른 뛰어가 환희에 젖었다. 숲길은 새우난초가 지천이었다. 시간이 지체되어 어둑해졌다. 숲속에 환한 금맥이 보이는 듯 하다. 금광에서 금맥을 발견하듯 금새우난초를 보았다. 나무와 풀에 섞어 금빛 날개를 펼친 금새우난초 숲길 막마지의 숲속의 위로가 피로를 날린다. (2021-04-19) 1. 새우난초 2. 금새우난초

[제주야생화 313] 삽주 - 나물과 한약의 추억을 야생화로 다시 본다.

제주의 봄은 참 빠르다. 벌써 풀꽃은 열매를 맺고 나무꽃이 주류이다. 늦게서야 삽주의 새순을 찾아 나섰다. 풀섶이 우겨져 삽주를 쉽게 찾지 못했다. 다행이 씨방이 안테나 역할을 하여 겨우 찾았다. 새순을 기대했는데 이미 상당히 큰 삽주였다. 삽주의 새순은 고급 산나물이다. 어릴 때 나물을 해러 가서 삽주가 있으면 반드시 뜯었다. 삽주는 유년시절의 아름다운 추억이다. 삽주의 생약명은 창출(蒼朮) 또는 백출(白朮)이다. 창출은 사용빈도가 높은 한약재이다. 동탄에서 약초관리사 자격을 취득하고 창출 등으로 약차를 만들어 음용하기도 했다. 그런 삽주를 야생화로 꽃을 보고 열매를 보았다. 종자의 아름다운 갓털도 보았다. 씨방이 눈보라를 견디고 잎이 자라는 요즘에도 건재하다. 삽주 학명 / Atractylodes j..

[제주야생화 312] 제주골무꽃 - 2011년 제주에서 발견, 중국 고유종이 무너졌다.

온 몸에 긴 털을 촘촘히 두른 골무꽃 2011년 제주에서 발견된 미기록종이다. 1977년 중국 윈난성에서 처음 발견되어 중국 고유종으로 알려져왔던 골무꽃이다. 기존의 골무꽃과 모습이 많이 다르다. 꽃이 잎 겨드랑이에서 피고, 꽃도 골무꽃과 달리 납작한 원통형이다. 북처럼 생긴 열매 안에 종자가 들어있다. 제주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fuberifera 분류 / 꿀풀과(Lamiaceae) 골무꽃속(Scutellaria) 2011년 제주도 서귀포에서 발견되었다. 국생종에 아직 등록되어있지 않다. 제주도의 그늘진 계곡 사면이나 물가 근처의 풀밭에서 자란다. 제주골무꽃은 골무꽃과 비교할 때 전체에 긴 털이 빽빽하게 덮이고,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땅 속에 달걀형의 덩이줄기가 달리는 점이 다르다.

[제주야생화 311] 사향제비꽃 - 사향 냄새가 난다고 하는데 내 코가 문제인가?

제비꽃 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본다. 둥근잎에 꽃도 크고 색감도 좋다. 거기다가 사향 냄새까지 난다고 하지 않는가? 얼짱 사향제비꽃에 가까이 코를 대봤다. 흙냄새만 진동하고 향기는 내 코에 들어오지 않았다. 내 코가 문제인가? 바람이 문제인가? 사향제비꽃 학명 / Viola obtusa (Makino) Makino 분류 /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낚시제비꽃 계열의 제비꽃으로 낚시제비꽃에 비해 꽃이 크고 색이 짙다.

[제주야생화 310] 산딸기 - 빨간 달콤함을 꿈꾸며 흰 꽃잎을 펼쳤다.

갑선이오름을 내려오는데 산딸기 꽃이 활짝 핀 것이 보인다. 갑돌이와 갑순이가 빨간 산딸기를 따먹고 깔깔대는 모습을 상상하며 꽃술을 접사하는 마음에서는 어릴 적 추억이 넘실댄다. 60년대 시골에서는 특별한 간식이 없었다. 여름이면 산딸기와 멍석딸기를 많이 따먹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산딸기란 제목으로 에로영화 시리즈를 만들기도 했다. 산딸기 학명 / Rubus crataegifolius Bunge 분류 / 장미과(Rosaceae) 산딸기속(Rubus) 한국,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에 분포한다. 맹아력이 크고 지표면 가까이 있는 가근성 땅속줄기에서 근맹아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