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살이/제주고사리 98

[제주고사리 81] 사철고사리 - 돌담고사리와 헷갈리기 쉽다.

안경테가 뿌러져 수리를 맡기고 선그라스로 버틴다. 산에는 못가고 사철고사리를 찾아 동네 돌담을 돌았다. 구분 포인트도 얘기들었는데 그동안 구분이 잘 되지 않았었다. 돌담고사리를 포슽한 후 사철고사리를 알았는데 볼 때마다 헷갈렸다. 그런던 것이 어제 갑자기 눈에 들어왔다. 돌담고사리와 비교하여 잎이 두껍고 표면에 광택이 난다. 그리고 최하부 우편이 그 위 우편보다 짧다. 선그라스 넘어 검으칙칙한 사철고사리를 찍느라 킹킹댔던 그 시간들~ 사철고사리는 돌담고사리에 비해 잎은 두껍고 광택이 나며, 짙은 녹색이다. 잎몸의 폭이 좁으며, 최하부 우편은 그 위 우편보다 짧다. 사철고사리 학명 / Asplenium pekinense Hance 분류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꼬리고사리속(Asplenium..

[제주고사리 80] 뿔고사리 - 뿔난 세상, 뿔을 찾아 헤메다

세상살이에 뿔날 일이 많다. 그런데도 뿔을 찾아 헤멨다. 대체 뿔고사리는 어디 있을까? 뿔고사리속의 속명은 Cornopteris이다. 뿔이 있는 고사리라는 뜻이다. 응달고사리, 뿔고사리, 지리산숲고사리 3종이 있다. 이외에도 뿔이 난 고사리는 많다. 처음에는 지리산숲고사리를 뿔고사리로 알았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지리산숲고사리가 아니라 응달고사리였다. 이렇게 비슷비슷한 고사리를 동정하는 어려움이 많다. 그러한 시행착오를 거쳐 확신 단계에 오면 그렇게 뿌듯할 수가 없다. 그 맛에 식물공부를 하며 즐긴다. 뿔고사리 학명 / Cornopteris decurrenti-alata (Hook.) Nakai 분류 / 개고사리과(Athyriaceae) 뿔고사리속(Cornopteris)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그늘..

[제주고사리 79] 비늘고사리 - 줄기 비늘은 적갈색이며 잎 상부가 축소된다

곰비늘고사리를 알고나니 비늘고사리가 궁금해졌다. 칡오름에서 비늘고사리 같아서 다시 찾아 확인해보니 그냥 곰비늘고사리였다. 실망을 하고 내려오는데 진짜 비늘고사리가 보였다. ㅎㅎ 이렇게 알아본 비늘고사리가 곳곳에 많이 살고 있었다. 사실 제주에 흔한 곰비늘고사리는 남부에만 자생하는데 비해 비늘고사리는 전국적으로 곳곳에 자생하고 있다. 곰비늘고사리의 줄기 아래 비늘은 흑색이지만 비늘고사리는 갈색 혹은 적갈색이라 비늘을 보면 금방 확인할 수 있다. 비늘고사리의 또하나 특성은 상부의 포자낭이 붙은 부분이 축소된다는 것이다. 비늘고사리 포자낭군 (동영상) 비늘고사리 학명 / Dryopteris lacera (Thunb.) Kuntze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우리..

[제주고사리 78] 큰개관중 - 잎자루 기부 인편이 갈색이고, 잎몸이 크다.

검정개관중을 보고나니 큰개관중이 보고싶었다. 웹에서 큰개관중 있는 약도를 보고 찾아갔더니 가는쇠고사리였다. 검정개관중 보다 흔하다는데 어디에 있을까? 다른 장소의 검정개관중을 찾으러 곶자왈 숲에 들어갔다. 앗! 잎자루 인편이 갈색이다. 드디어 큰개관중을 우연히 보았다. 검정개관중을 본 후 큰개관중을 공부했더니 금방 알아보았다. 큰개관중은 잎자루 기부의 인편이 갈색이고 잎자루보다 잎몸의 길이가 더 길다. 큰개관중 학명 / Polystichum mayebarae Tagawa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전남, 제주의 산지 수림 아래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검정개관중과 유사하나 우편은 아래에서 중간까지 거의 ..

[제주고사리 77] 검정개관중 - 미끈한 아름다움에 인기있는 고사리

작년에 어느 농원에서 본 후 보고싶었던 검정개관중 올해 3곳에서 실컷 보았다. 미끈한 아름다움에 관상용으로 인기가 많다고 한다. 주로 곶자왈의 함몰지 비옥한데서 살고 있다. 기부의 인편이 흑색으로 검정개관중이란 이름을 얻었다. 곶자왈의 눈 속에서 그 날렵한 모습을 본 후 나중에서야 이름을 알았다. 검정개관중 학명 / Polystichum tsus-simense (Hook.) J.Sm.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경남, 제주의 숲속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 베트남, 태국, 인도차이나에도 분포한다. 종명 tsus-simense는 '쓰시마섬의' 뜻이며 영어명은 korean rock fern이다. 북아메리카에서 인기를 끌고..

[제주고사리 76] 좀쇠고사리 - 잎은 다닥다닥, 끝은 점차 좁아진다.

곶자왈에서 가장 흔한 고사리가 가는쇠고사리라면 계곡에서 많이 보이는 고사리가 좀쇠고사리이다. 잎은 다닥다닥 달리고, 정우편이 발달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새순이 나오는 모습이 도깨비를 닮았다. 힘차게 올라오는 새 봄의 팡빠레 초여름으로 가는 숲은 좀쇠고사리 군락의 아름다움이다. 좀쇠고사리 학명 / Arachniodes sporadosora (Kunze) Nakaike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쇠고사리속(Arachniodes) 경남, 제주의 숲속에서 자란다. 중국, 일본, 타이완, 말레이지아, 뉴기니에 분포한다. 가는쇠고사리 https://blog.daum.net/rhodeus/15082322

[제주고사리 75] 세뜨기 - 생식줄기의 포자낭이 뱀의 입을 닮았다.

어릴 적 시골의 밭둑에서 많이 보았던 세뜨기 소가 잘 뜯어먹기 때문에 세뜨기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세뜨기를 진솔이라고도 하는데, 진땅에서 자라는 소나무라는 뜻이다. 생식줄기(포자엽)가 이른 봄에 영양줄기보다 일찍 나온다. 생식줄기는 가지를 치지않고 그 끝에 포자낭수가 생긴다. 영양줄기는 어린 소나무를 닮았다. 세뜨기 학명 / Equisetum arvense L. 분류 / 속새과(Equisetaceae) 속새속(Equisetum)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40cm이다. 쇠뜨기로 빚은 술은 피로회복, 강장강정, 기력증진 등에 좋다. 쇠뜨기는 장기복용할 수 있다. 이밖에 생즙이나 시럽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화장품이나, 샴프, 린스용으로도 외국에서는 상품화되고 있다.

[제주고사리 74] 곰비늘고사리 - 검은 비늘이 덕지덕지 붙었다.

제주도 숲길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는 곰비늘고사리 중축에 검은 비늘이 덕지덕지 붙었다. 관중처럼 모여서 잎이 나와서 군락의 아름다움을 연출한다. 상록성이라 겨울에도 잎을 볼 수 있다. 아열대성 고사리로 제주도 저지대에 흔하고 남부지방에도 더러 자란다. 곰비늘고사리 학명 / Dryopteris uniformis (Makino) Makino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충남, 경남, 전남, 제주, 울릉도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밀생하는 비늘조각이 곰의 털과 비슷하다 하여 이와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제주고사리 73] 골고사리 - 숲속의 멋쟁이, 귀해서 더욱 소중하다.

습기가 많은 골짜기에서 아주 드물게 자라는 골고사리 단엽으로 된 잎의 모양이 여느 고사리와는 품격을 달리한다. 선흘리의 군락지는 제주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었다. 잎이 파초일엽과 닮아 나도파초일엽 변산반도에서 발견되어 변산일엽으로도 불린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이다. 골고사리 학명 / Asplenium scolopendrium L 분류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꼬리고사리속(Asplenium) 강원, 전북, 전남, 울릉도, 제주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 러시아(사할린, 남쿠릴열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종명 scolopendrium은 지네를 의미하며, 잎의 모양이 지네의 수많은 다리를 연상했다. 영어 이름은 Hart's-tongue fern으로 사슴의 혀를 닮은 ..

[제주고사리 72] 가는쇠고사리 - 날렵한 몸매를 가진 난대림의 대표종

곶자왈이나 제주 숲길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고사리 상록성이어서 겨울에도 싱싱한 녹색을 볼 수 있다. 표면에 윤기가 자르는 흐르는 멋진 고사리이다. 맨 아래 소우편이 길게 열덟팔자(八)로 길어지고 정우편이 뚜렷하며 우축의 끝이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어 군락을 형성하여 장관을 연출하곤 한다. 가는쇠고사리 학명 Arachniodes aristata (G.Forst.) Tindale 분류 관중과(Dryopteridaceae) 쇠고사리속(Arachniodes) 전남, 제주의 숲속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초 일본, 타이완, 중국, 말레이시아에도 분포한다. 소우편은 윤채가 돌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