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살이/제주고사리 101

[제주고사리 95] 산개고사리 - 미안하다! 산개고사리야~ 가장 흔한 너에게

멘토 없이 마구잡이 탐사로 배우는 고사리 종류들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속에서 어렵기도 하거니와 늘 헷갈리기 일쑤다. 개고사리속(屬)만 하여도 15종이나 된다. 개고사리속 분류키 중 우측에 가시모양 돌기가 '있다'(2종) '없다'(4종)이 있다. '있다' 중 '골개고사리'는 보았으므로 나머지 한개는 분명 '가는잎개고사리'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하원수로길에서 본 '중축에 돌기가 있는' 고사리를 가는잎개고사리로 동정하였다. 그리고 가을에 무성아가 날 때 찾아가서 찍어야지 생각했다. 우연히 고사리 도사와 만났을 때 가는잎개고사리를 보았다고 했다. 보기 어려운 고사리인데 보셨군요, 하면서 어디서 봤냐고 했다. 그런데 다른 양치식물도감을 새로 사서 개고사리속을 보았는데 기존 도감에서 가시같은 돌기가 '없다'는 ..

[제주고사리 94] 왕지네고사리 - 숲속을 환히 비추는 보석을 보는 듯

어두운 숲속에서 환히 비추는 보석들 와~ 혹시 그토록 보고싶던 흰비늘고사리인가? 그러나 흰비늘고사리가 아니라 왕지네고사리였다. 나중에 본 흰비늘고사리보다도 더 희고 멋진 왕지네고사리 과연 왕답게 군락으로 펼져진 모습이 장관이었다. 앉아서 본 왕지네고사리 군락의 새순 줄기들~ 동화의 나라에서 얼음공원에 온듯한 착각속에서 고사리 탐방의 희열과 감동이 휘몰아친다. 한참이나 즐기고 또가며 보고했던 왕지네고사리~ 왕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 Chr.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우리나라 전역의 숲속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곰비늘고사리 - 검은 비늘이 덕지덕지 붙었다 비..

[제주고사리 93] 뱀고사리 - 전국적으로 가장 흔하게 보이는 양치식물

전국적으로 가장 흔하게 보이는 고사리라면 아마 뱀고사리일 것이다. 추석 연휴에 안양 수리산을 올랐는데 그 곳에서도 뱀고사리를 많이 보았다. 그런데 뱀고사리는 모양이 다양하여 오히려 다른 고사리보다 늦게서야 알게 되었다. 뱀고사리는 영어명은 Asian common ladyfern이다. 국명과 달리 단아한 숙녀처럼 보이는가 보다. 그렇다면 그 숙녀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자. 뱀고사리 학명 / Athyrium yokoscense (Franch. & Sav.) Christ 분류 / 개고사리과(Athyriaceae) 개고사리속Athyrium)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일본, 중국,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제주고사리 92] 족제비고사리 - 절벽에 족제비 가죽을 걸어놓은 것 같다

산족제비고사리는 산길에서 흔히 보이는데 오리지날 족제비고사리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저지대 계곡의 절벽에 소수가 자생하고 있다. 절벽에 족제비 가죽을 걸어놓은 것 같은 모습의 족제비고사리 잎몸이 두텁고 상부 우편은 좁아져 꼬리처럼 되고 최하 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은 다른 소우편들에 비해 특히 크다. 날렵한 모습의 멋쟁이 족제비고사리 모기떼의 등쌀이 뛰져나오길 반복하며 족제비고사리의 면면을 보았다. 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varia (L.) Kuntze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제주의 해안 근처 그늘진 사면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 타이완, 필리핀, 베트남, 인도에도 분포한다.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제주고사리 91] 개고사리 - 꼬리가 멋지고 늘씬한 멋쟁이

고사리 사진을 찍고 물어봤는데 '아띠리움속'이란 답신이 왔다. 사전을 찾아보니 개고사리속(Athyrium)을 뜻했다. 그래서 올해는 개고사리과(Athyriaceae)를 많이 찾아보았다. 개고사리는 4속에 40여종이나 있어 상당히 복잡하다. 그게 그거 같고 보고 또봐도 헷갈리기 일쑤다. 그래도 이름을 찾아 익히고 첫번째로 개고사리를 포슽하니 뿌듯하다. 개고사리는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에서 볼 수 있다. 영양엽과 포자엽이 뚜렷한 2가지 모양이다. 잎 끝과 우편 끝이 꼬리모양으로 길어져 늘씬한 모습이다. 개고사리 학명 / 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분류 / 개고사리과(Athyriaceae) 개고사리속(Athyrium) 개고사리속은 세계적으로 약 200종, 우리나라에서는 15종이 ..

[제주고사리 90] 왁살고사리 - 전혀 왁살스럽지 않은 고사리

밉살스럽게 모질고 우락부락한 사람을 왁살꾼이라 한다. 전라도 방언으로 ‘억새’를 왁살이라 부른다고 한다. 사전에서 찾은 이 두가지 뜻은 왁살고사리에게는 글쎄다. 왁살고사리는 여리여리한 모습의 중형고사리이다. 조릿대 숲에서는 아주 작게 평지에는 군락으로 좀 더 크게 자란다. 여느 고사리보다도 부드러운 느낌의 왁살고사리 잎 뒤의 물방울 같은 인편이 왁살고사리의 특징이다. 우리나라 전역의 숲속에서 볼 수 있는 왁살고사리를 살펴본다. 왁살고사리 학명 / Arachniodes borealis Seriz.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쇠고사리속(Arachniodes)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중형의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제주고사리 89] 흰비늘고사리 - 숲속에서 크리스탈 보석을 찾다.

곰비늘고사리와 비늘고사리에 이어 흰비늘고사리가 있다. 비늘이 검정색인 곰비늘고사리, 자색의 비늘고사리라면 흰비늘고사리는 온몸에 흰비늘이 덮였다. 새순일 때에 가장 흰색이 많아 봄의 숲속에서 크리스탈 보석을 찾는 기분으로 환상의 세계에 황홀감을 맛보았다. 그 자연의 행복속에 외신은 유색인종 테러로 들썩였다. 홍지네고사리 새순과 흰비늘고사리 새순이 정답게 기대어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아낌없는 주는 자연의 위대함에 젖고 싶다. 흰비늘고사리 학명 / Dryopteris maximowicziana (Miq.) C. Chr.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관중속(Dryopteris) 중형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충남, 전남, 경남, 제주의 습기가 많은 저산지대 숲속에서 자란다. 일본,..

[제주고사리 88] 푸른각시고사리 - 소우편에 짧은 자루가 있다

각시고사리의 매력은 미끈함이다. 밝은 녹색으로 빛나는 또다른 푸른각시고사리 소우편에 짧은 자루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시고사리보다 더 흔하게 볼 수 있다는데 점고사리를 푸른각시로 혼돈할 만큼 찾고 찾았다. 그러다 드디어 푸른각시고사리를 보았다. 그 기쁨이란 뭐라 설명할 수 없을 정도였다. 비슷하면서도 미세한 다름이 주는 뿌듯함 그 모습을 찬찬히 본다. 푸른각시고사리 학명 / Macrothelypteris viridifrons (Tagawa) Ching 분류 / 처녀고사리과(Thelypteridaceae) 각시고사리속(Thelypteris)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 한국, 일본 남부, 중국에 분포한다. 전북, 전남, 경남, 제주의 산지의 습기가 있는 숲에서 자란다. 각시고사리 https://blo..

[제주고사리 87] 줄고사리 - 뻣뻣한 잎이 조밀하게 붙고 곧게 자라 열대지방에서는 울타리로 심는다.

수십개의 우편쌍이 줄줄이 달리는 줄고사리 뻣뻣한 잎이 곧게 자라는 특성 때문에 열대지방에서는 울타리로 즐겨심는다고 한다. 난대성고사리이므로 집안에서도 잘 자란다. 흰털이 많은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도 멋지다. 제주 해안가의 돌담이나 오름에서 자란다. 곶게 자라고, 각 우편은 서로 겹치며, 감자같은 괴경이 달리므로 가정에서 흔히 키우는 보스톤줄고사리(더피)와는 다른 우리나라 자생 줄고사리이다. 줄고사리 학명 / Nephrolepis cordifolia (L.) C. Presl 분류 / 줄고사리과(Nephrolepidaceae) 줄고사리속(Nephrolepis)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 또는 착생한다. 포자낭이 터지는 동영상 (유튜브 펌)

[제주고사리 86] 개톱날고사리 - 무서운 이름이지만 너무 보고싶었다

가장 눈부신 희열의 불꽃은 종종 예상치도 못했던 불씨에 의해 점화되곤 한다. - 사무엘 존슨 - 고사리 공부 시작은 우연이었다. '포막'을 검색하다가 '양치식물의 자연사'라는 책을 알았다. 그 책 속에 발견한 글귀에 눈이 확 커졌다. 양치식물의 자연사를 읽으며 고사리에 대해 푹 빠지게 되었다. 그 책 표지에 개톱날고사리 새순(포자엽) 그림이 있다. 그 후 개톱날고사리를 찾으려 묻고 찾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라산과 가거도에만 서식하는 희귀 고사리이다. 한라산 자락의 숲에 있는 서식처를 어렵게 알았다. 개톱날고사리는 영양엽과 포자엽 2형이다. 애호랑나비 알을 찾아 족도리풀 잎 뒤를 뒤집어보듯 포자낭이 달렸는지 수많은 잎을 뒤집어보았다. 그러나 거의 다 영양엽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뜻밖에도 포자엽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