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50

족은방애오름, 방애오름(교래), 민오름(선흘) - 날씨 불문 강행군

[제주오름 272, 273, 274]  초원의 젖은 풀들이 바지와 신발을 적셨다.민오름을 앞에 두고 빗방울이 떨어져도 강행군하산 후 젖은 초원길에서 물에 빠진 생쥐가 되었다.   오름투어에서 날씨를 따질 겨를이 없다.제주살이 마감 시간이 주는 압박이다.온통 오름에 집중하는 8월의 폭염 속이다. 교래리에 있는 방애오름과 족은방애오름을 연계 산행할 계획으로 출발했다.서귀포의 날씨는 쾌청이고 한라산도 잘 보였다.하지만, 한라산을 넘어 교래리에 닿으니 잔뜩 흐렸다. 족은방애오름을 오르고 내려와 방애오름을 향했다.오름 종주를 위해 끄트머리부터 오르려고 초원을 걸었다.오름 주위의 넓은 초원은 전날의 비에 풀들은 젖어있었다. 젖은 풀에 신발과 바지가 젖어왔다.비도 오지 않는데 신발속의 물이 배어 찌걱거린다.그래도 풀..

가메옥 - 입구 발견이 정상 밟은 기분이다.

[제주오름 271]  입구 발견이 정상 밟은 기분이다.밭주인이 알려준 입구도 아니었다.직감으로 돌고 돌아서야 진짜 입구이다.  오름을 오른다는 것은 그냥 오르는 것이 아니다.사전에 공부하고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그러나 때로는 인근 오름을 찾아 갑자기 오를 때도 있다. 선족이오름을 오르고 시간에 여유가 있어인근에 있는 가지 않은 오름을 찾은 것이 가메옥이다.사전 정보도 없이 가메옥을 찾았다. 작은 오름이라 멀리서 주차하고 찾아가는 길숲을 헤지고 밭고랑 사이를 걸어도 이건 길이 아니다.밭을 가는 농부에게 물었더니 그 뒤로 올라가는 길이란다. 그곳으로 가니 엉긴 가시덤불을 넘어야 한다.그래서 아예 다른 루트를 찾자고 길로 내려왔다.그래서 찾은 것이 가로막힌 철문이었다. 웹에서 본 기억을 찾아 옆으로 돌아 입구..

알선족이오름, 웃선족이오름 - 예상치도 않은 가시덤불 탐사에 피를 흘렸다.

[제주오름 269, 270]  예상치도 않은 가시덤불 탐사에 피를 흘렸다.공중화장실에서 세수를 하니 기분이 나아졌다.쉼터에서 듣는 얘기가 다 그렇게 사는가 보다.  제주의 동부지역은 제주에서 오름이 가장 많이 몰려있다.그래서 516 도로에서 평대리까지 이어지는 비자림로를 자주 달렸다.그런데도 선족이오름이 비자림로 곁에 있는 데도 몰랐다. 낮은 오름이고 비자림로 곁에 삼나무가 많이 자라니 안보일 수도 있다.오름투어 막바지에 찾은 알선족이오름과 웃선족이오름을 쉽게 생각했다.그러나 선족이오름이 곁의 비자림로에서는 철조망이 접근이 어렵다. 그래서 새미오름입구 주차장에 주차하고 접근했다.그런데 한여름의  초원은 풀들이 커서 걷기가 불편하고치올라오는 열기가 온몸으로 번진다. 오름을 오를 때는 가시덤불이 많아 전정가..

이돈이오름 - 쉽게 올랐다고 좋아했다가 큰코다쳤다.

[제주오름 268]  골프장에 갇힌 오름은 불쌍하다.블로그를 검색하면 이돈이오름 찾아가는 방법이 있을 정도다.그걸 보고 쉽게 올라 골프장으로 하산하니 골프장 탈출이 오름보다 힘들다.  이돈이오름은 마오름, 하늬보기, 어오름과 함께 사방에서 서영아리오름을 호위하는 모습이다.서영아리오름은 네이버지도에서 용와이오름이라고 잘못 기재되어 있다.그런데 이돈이오름은 동쪽, 북쪽, 남쪽이 나인브릿지 골프장에 갇혔다. 그리고 서쪽은 목장 초지와 경작지로 이용된다.그래서 이돈이오름을 가려면 서쪽의 초지로 접근해서 올라야 한다.그리고 하산은 올라왔던 길을 되돌아가는 원점회귀를 일반적이다. 그런데 원점회귀를 좋아하지 않는 나는 골프장으로 하산했다.골프장과 휴양시절을 지날 때만 해도 좋았다.골프장에서 주차된 곳을 가는 것이 만..

빈네오름 - 여인의 비녀를 닮은 오름, 골프장에 갇혀 두문불출하고 있다.

[제주오름 267] 이제까지의 오름 탐사 중 가장 진한 막탐사 가시덤불 뚫으며 방향을 잡는다. 최고의 서바이벌 게임 같다. 네이버 지도에서 빈네오름을 치면 엉뚱한 곳을 가리킨다. 지난번 검은들먹오름을 찾아갈 때 웹지도에서 현 지점 옆에 빈네오름이 있어 찾아보았으나 없어 헷갈렸다. 나중에 알고 보니 네이버지도가 잘못되었던 것이다. 다래오름 남쪽에 있는 오름이 진정 빈네오름인 것이다. 네이버 지도는 사실상 두 군데를 빈네오름으로 기재하여 놓았다. 다래오름 옆에 빈네오름이 있지만 다래오름과 빈내오름을 연계하여 오를 수 없다. 빈네오름 둘레에 골프장이 건설되어 길을 막았기 때문이다. 골프장에 갇힌 빈네오름은 비녀를 꽂은 여인의 방문을 잠근 격이다. 독수공방에 지친 여인의 한이 가시덤불로 변하여 오름을 덮었다. ..

다래오름(중문) - 다래나무는 없고 등수국은 많네

[제주오름 266]  다래나무가 많다는 다래오름그러나 다래나무는 없고줄기가 비슷한 등수국이 여기저기   영실 입구의 다래오름을 찾았다.전망도 없고 풍경도 별로인 오름한 개의 오름을 오른다는 마음으로 올랐다. 다래오름 이름이니 만치 다래나무를 찾아보았다.다래덩굴 비슷한 줄기가 있어 잎을 찾아보고 실망했다.등수국의 줄기였기 때문이다. 결국 다래나무는 발견하지 못했다.민박쥐나물, 고깔쥐눈물버섯, 세뿔석위를본 것으로 위안을 삼는다. 전망의 기대를 하지 않으니생태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다행히 가시덩굴도 없어 수월한 탐사였다. (2024-08-10)                                                  다래오름위치 / 서귀포시 중문동 산 1번지규모 / 표고 984m, 비고 6..

감낭오름 - 감나무가 있었다는 시목악(枾木岳)

[제주오름 265] 원물오름 옆에 있는 감낭오름 그러나 그동안 모르고 지냈다. 그런데 알보고니 원물오름을 포함하는 오름이었다. 원물오름은 꽃탐사로 오름 투어로 여러 번 올랐다. 하지만 그 옆의 감낭오름은 모르고 지냈다. 오름 목록의 보니 감낭오름이 있었다. 찾고 보니 바로 원물오름 옆이다. 그런데 옛날에는 감낭오름이 있었고 원물오름이라 이름은 없었다. 그런데 이제는 원물오름이 더 유명해졌다. 오름 투어도 원물오름을 오르는 사람들은 많아도 감낭오름을 찾은 사람을 드물다. 그러니 감낭오름 능선길은 다듬어지지 않은 풀숲이다. 초원에 억새나 띠가 많아 자라 헤쳐나가야 한다. 정상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시원하다. 서양아리오름처럼 강남오름에도 2개의 바위가 있다고 한다. 그 돌을 찾으러 초원 아래로 내려갔다. 작은 ..

눈오름(장전) - 동네 오름이 더 힘들다.

[제주오름 264]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의 오름이라는 눈오름장정리 동네의 자그만 눈오름이 사람 잡는다.삼복더위에 칡덩굴과 가시덩굴이 앞길을 막는다.  삼복더위의 오름 투어는 힘든 고행이다.동네에 뒷동산 같은 오름 오르기가 더욱 힘들다.현실의 아일러니가 아닐 수 없다. 동네의 작은 오름은 대부분 농경지로 개발되었다.사유재산이므로 경계를 높이고 돌담을 쌓는다.나머지 부분은 사람들이 잘 찾지 않으니 밀림이 된다. 장전리의 눈오름도 해송 몇 그루가 보이는 것이 다다.대부분이 농경지로 개발되었고 오름 정상 부분만 남아 오름임을 보여준다. 길은 없고 칡덩굴과 가시덩굴이 엉겨 접근을 마다한다.지도에 그려진 등고선을 보면서 가장 높은 곳으로 오른다.그 과정은 땀과 가시의 싸움이다. 삼복더위 막탐사 땀방울이 뚝뚝  떨..

금산(琴山) - 긴 능선이 거문고를 닮았단다

[제주오름 263]  단산과 금산, 한 오름 같은데 어엿한 두 오름이다.그러나 단산의 위용에 눌려 찾는 사람이 드물다.긴 능선 자락에 농지도 있고, 반대편은 절벽이었다.  단산은 여러 번 갔는데 금산은 처음이다.블로그를 검색하면 힘들다는 표현이 많다.그래도 담산과 마주 붙은 금산을 가고 싶었다. 단산과 금산은 세미고개로 갈라지지만단산이 뻗어나온 능선이 한 개의 오름처럼 보인다.하지만 단산과 금산의 퇴적암층이 다르다고 한다. 금산(琴山)이란 명칭은 긴 능선이 거문고를 닮아 이름지어 졌다.거문고 줄을 튕기는 상상을 하면 능선길을 간다.길은 풀이 무성하고 소나무 사이로 전망이 비교적 잘 보인다. 한라산, 산방산, 송악산, 형제섬, 마라도, 모슬봉 전망을 보면서바위의 모양이 어떻게 다른 지도 관심을 가지고 걸었..

신산오름 - 트레킹 노선과 닮은 동자석, 우연의 일치가 놀랍다

[제주오름 262]  한여름의 오름 탐사는 땀으로 죽인다.그래도 묘지의 동자석이 반갑다 인사하고묘지의 후손이 찬 물병을 주는 인심이 있어 좋다.   안덕으로 향하다가 감산입구에서 좌회전을 많이 하곤 했다.그런데 신산오름을 가려고 하니 감산입구이다.신산오름의 정체를 모르고 지나다니기만 했다. 신산오름은 대부분 귤밭으로 개간되었고낮아서 알려지지도 않았다.물론 길도 없다. 간단히 오르겠지 하면서 핸드폰만 챙겼다.길이 없어 귤밭을 지나 막탐으로 올랐다.땀을 비 오듯 흘리고 정상에 올랐다. 정상이랄 것도 없이 그냥 귤밭이다.귤밭을 지나 반대편 하산길로 접어들었다.풀이 무성한 묘지가 보인다. 가까이 가니 풀 속에 동자석들이 웃고 있다.반가움에 풀을 헤치고 동자석을 본다.이 쪽에 두 개, 저 쪽에 세 개 갖가지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