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르장지뱀 - 법당 앞 돌계단에서 거미를 잡아먹고 있다. 불경소리가 들리는 땡볕이 내려쬐는 법당 앞 돌계단 아무르장지뱀이 거미를 사냥한다. 거미를 입에 넣었다가 바닥에 놓친 후 다시 입에 문다. 법당 앞이 야생의 세계이다. (2018-10-02) (사진 / 2018-10-02 소요산 자재암) 우리가 흔지 도마뱀이라고 부르는 것은 대부분이 장지뱀이라고 한다. 서.. ♪ 산, 여행, 야생화/숲속의 동물 2018.10.05
큰광대노린재 약충 - 석병산 회양목에서 보았다. 석병산 정상 근처의 회양목 부엉이를 찾는데 큰광대노린재 한마리가 회양목 잎에 앉아있었다. 두달 후에는 청송의 백석탄에서 그 화려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또 보았다. 미국가막사리 잎 위에서.... 회양목에서 찾은 부엉이 회양목에 앉아있는 큰광대노린재 약충 큰광대노린재 약충의 화.. ♪ 산, 여행, 야생화/숲속의 동물 2018.10.04
광대노린재 약충 - 웃음으로 부르는 귀염둥이 자연의 맛을 보며 걷는 두타연 트레킹 즐거움을 배가 시킨다. 붉나무 열매를 찍는데 역광인 잎 아래에 옹기종기 붙은 녀석들 무얼까 가지를 가까이 해보니 앗! 웃음이다. 광대노린재 약충들이다. 붉나무 잎 뒤의 광대노린재 약충 붉은 색은 점차 흰색으로 변한다. 날개 뒷면의 모습이 웃.. ♪ 산, 여행, 야생화/숲속의 동물 2018.10.03
아시아실잠자리 - 러브 러브 대행진 땡볕인 초가을 아시아실잠자리들이 바쁘다. 콘크리트 벽에서, 볏잎에서, 물풀에서 러브 러브 대행진을 벌이고 있다. 눈두렁에서 등산화가 젖어오는데도 그 러브 행진을 촬영한다. 추억은 1984년도의 공구박스로 달린다. (2018-09-25) 러브 산란 추억 ♪ 산, 여행, 야생화/숲속의 동물 2018.10.03
[2018-09-29] 두타연 트레킹 - 머루, 다래, 오미자. 야생의 맛을 즐기며 걷는다. 4번째 오는 두타연 이번엔 인생방학 전 아파트 트레킹이다. 머루, 다래, 오미자 맛을 보며 푸른하늘의 뭉게구름을 자꾸 눈땡이 한다. 행복한 트레킹을 선물한 멋진 날이다. 이날의 보너스는 을지전망대와 제4땅굴이었다. 트레킹 코스 안내도 (10:15) 까실쑥부쟁이 개쑥부쟁이 미역취 개쑥부.. ♪ 산, 여행, 야생화/산행 & 꽃탐사 2018.10.01
미나리 - 향기로운 미나리, 꽃과 열매를 보다 동탄에 와서 새롭게 인색된 미나리 수퍼에서 산 미나리에서는 향기가 나지 않았는데 야생의 미나리에서 진한 향기가 코를 찌른다. 먹을 만치 뜯어와 야생의 향기가 물씬 풍기는 미나리 나물로 밥을 비벼먹으니 그 맛이 그만이다. 야생의 맛이 이렇게나 향기로운지 새삼 깨닫았다. 그 맛..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9.30
뚱딴지 - 완고하고 우둔하며 무뚝뚝한 사람이 아니라 예쁜 꽃이예요. 푸른 하늘에 노랑 물결 돼지감자가 가을을 노래한다. 뭉게구름을 감상하면서... 북미 원산의 귀화종으로 식용, 사료, 관상용으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되어 전국에 퍼졌다. 국화과 해바라기속 학명은 Helianthus tuberosus L. 돼지감자라고도 한다. (사진 2018-09-26)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9.29
산호랑나비 애벌레 - 풍경 버전, 마음이 날아간다. 하늘이 멋진 날 오랜만의 동탄벌 우연히 들어간 습지 앗~ 산호랑나비 애벌레다! 환호성을 질렀다. 얼마나 보고 싶었던가? 주로 산형과 식물을 먹는 산호랑나비 애벌레 미나리 군락을 초토화하다 시피한 모습 여기 저기 산호랑나비들이 미나리를 먹고 있다. 멋진 하늘을 넣고 산호랑나비 .. ♪ 산, 여행, 야생화/숲속의 동물 2018.09.28
톱니나자스말 -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는 수초 톱니나자스말(Najas minor All.) 나자스말과(Najadaceae) 나자스말속(Najas)이다. 주로 중부지방의 연못 등에서 자라는 1년생 수초이다.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공기정화작용이 있다고 한다. (2018-09-10) 보름전에 사진을 찍은 후 나중에서야 톱니나자스말이란 이름을 알았다. 다시 찾아갔더니..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9.27
민구와말 - 논바닥을 전세놨네 논 바닥에 아주 작은 풀들이 풍성하다. 물논에서도 물속에 있었지 이름을 알고보니 민구와말 줄기와 꽃받침 등에 털이 없고 꽃자루가 있는 것이 구와말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학명은 Limnophila indica (L.) Druce로 현삼과이다. (2018-09-17) (2018-09-26) (2017-10-24) (2017-10-26) 민구와말은 줄기와 꽃받침 .. ♪ 산, 여행, 야생화/야생화 2018.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