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살이 1229

[제주야생화 112] 붉은사철란 - 사철란 중 가장 일찍 꽃을 피운다.

사철란 중 가장 일찍 꽃을 피운다. 작은 키에 큰꽃이 가분수 같다.' 꽃잎에 희미한 붉은색이 있다. 붉은사철란 학명 Goodyera macrantha Maxim. 분류 난초과(Orchidaceae) 사철란속(Goodyera) 추석 쇠고 2주만에 제주에 왔다. 기대했던 깔끔좁쌀풀은 꽃이 지고 열매를 맺었다. 긴 씨방 줄기를 예상했던 한..

[제주야생화 111] 방울꽃 - 방울벌레가 울 때 피어난다는 방울꽃

계속되는 궂은 날씨에 꽃들이 엉망이고 꽃객은 울상이다. 연일 이어진 궂은 날씨 중 유일하게 하루 하늘이 맑았다. 빛을 받은 방울꽃을 찾으며 숲속의 시간은 행복했다. 처음 방울꽃을 만났을 때는 벌깨덩굴이라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는데 집에 와서야 방울꽃임을 알았다. 그 미..

[제주야생화 110] 실꽃풀 - 하얀 실로 만든 듯한 청초한 꽃잎

직감으로 이름을 알았다. ㅎㅎ 꼭 하얀실로 만든 듯한 꽃이 숲그늘에서 피고 있다. 빛이 왜 그리 아쉬웠는지... 세번을 찾아가 그 모습을 자세히 본다. 잠깐 빛이 들었다. 앗~ 준비 부족! 뷰파인더를 보았다. 휴~ 다행이다. 그러고 보니 허리가 하프네~ 실꽃풀 학명 Chionographis japonica (Willd.) Ma..

[제주야생화 109] 나도생강 - 생강은 재배하고, 나도생강은 야생으로 자란다.

나도생강이 밭에서 재배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야생에서 보고 깜짝 놀랐다. 그리고 아주 황홀한 시간이었다. 자생지 3군데에서 본 나도생강 숲속에서 흰 꽃을 아름답게 피웠고 일부는 열매를 달고 있었다. 나도생강은 닭의장풀과인데 잎이 생강을 닮았다. 나도생강 학명 Pollia japonica Thunb..

[제주야생화 107]구슬꽃나무 - '중대가리나무'에서 개명했어요.

울릉도자생식물원에서 처음 중대가리나무를 알았다. 그래서 야생의 중대가리나무를 오랫동안 보고싶었다. 현재는 순화된 이름, 구슬꽃나무이다. 우리나라에는 1속1종밖에 없는 희귀한 나무인데 제주에 와보니 내창에 지천이었다. 지난 겨울부터 여름까지 본 구슬꽃나무의 꽃과 열매이..

[제주오름 47] 보리악 - 여름새우난초를 찾아 5.16도로에서 접근

8원의 마지막날, 여름새우난초를 찾아 보리악을 찾았다. 그러나 여름새우난초는 보지 못하고, 누린내풀만 보았다. 내친김에 보리악에 오른 후 다른 하산 길에서도 헛탕이었다. 하산을 완료하여 다른 계곡으로 향했다. 덕분에 으름난초 열매도 보았고 드디어 여름새우난초를 조우했다. (20..

[제주오름 46] 웃바매기오름 - 방울꽃을 처음 보고, 벵뒤굴을 본 것으로 만족

어느,블로그에서 습지 야생화를 보고 찾은 웃바매기오름 한여름 습지의 꽃들이 보고싶어서이다. 그런데 정작 습지는 보았는데 물러나야 했다. 오름을 오르다가 방울꽃을 처음 보았고 천연기념물 벵뒤굴을 본 것으로 만족한다. 지난번 걸었던 용암길의 일부를 걸었다. (2019-08-13) 웃바매기오름 입구 (15:44) 오전은 스프링데일리 숲길에서 야생화를 보고 오후 늦게 웃바매기오름 입구에 도착했다. 웃바매기오름 안내 옷바매기오름 탐방 궤적도 도로는 사유지로 막혀있다. 산판길도 철조망이 있어 그 옆으로 들어갔다. 산판길 참마 나방 한마리 모시풀 산판길로 가다가 아닌 것 같아 되돌아와서 둘레길을 찾았다. ' 둘레길 추분취 양하 둘레길에서 오름길로 방향을 틀었다. 오름길 옆에 양하가 즐비하다. 방울꽃 처음에는 왠 벌깨..

[제주야생화 106] 물고추나물 - 습지에 사는 고추나물이다.

흰색물고추나물이 사는 곳에 물고추나물도 살고 있다. 물고추나물은 잎이 넓고 연한 홍색의 꽃을 피운다. 흰색물고추나물과 물고추나물을 비교하며 꽃을 보았다. 물고추나물 물고추나물 풍경 물고추나물과 흰꽃물고추나물 잎 비교 물고추나물의 잎은 넓고 흰꽃물고추나물의 잎은 좁다...

[제주야생화 105] 흰꽃물고추나물 - 오후가 되어야만 꽃이 핀다.

습지에 가지니깐 오전에 다른 데 들렸다가 오후에 가잖다. 흰꽃물고추나물은 오후가 되어서만 꽃이 피기 때문이란다. 그렇게 흰꽃물고추나물을 알았다. 흰꽃도 피는 물고추나물과는 전혀 다른 종이다. 2011년 제주 연구원들에 의하여 이름지어졌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등재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