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피나무 2

궤펜이오름 3형제, 넙거리 - 궤펜이 3형제는 올랐는데, 궤는 보지 못했다.

[제주오름 330, 331, 332, 333]   막판에 기회를 잡은 궤펜이 3형제궤의 위치를 찾고 찾아도 찾지 못한 아쉬움입석오름의 습지를 못 찾은 아쉬움과 함께 제주오름의 미련이다.  성판악 탐방로 입구의 궤펜이는섯괴펜이, 샛괴펜이, 큰궤펜이가 나란히 있어 괴펜이 3형제라 불린다.큰궤펜이 옆에 큰 궤가 있어 궤펜이오름이란 이름이 붙었다.제주살이 초기 사려니길 비탐방로 특별 개방 기간에성판악~물찻삼거리~월튼삼거리~한라산둘레길~이승악~수악교버스정류장코스를 걸을 때 퀘펜이를 처음 알았다. 그리고 5년도 넘게 지난 후 제주살이 막판한 오름마니아와 함께 기회를 잡았다. 사전에 궤의 위치 정보를 캐고 캐어도 찾지 못했다.궤펜이 오름은 낮으막해서 오르는데 무리는 없다.큰궤펜이 둘레를 샅샅이 뒤져도 궤는 발견하지 ..

[제주곤충] 호랑나비 - 훨훨 나는 호랑나비의 경이로움 뒤에는 애벌레의 처절한 삶이 있다.

훨훨 꽃을 찾아 날아가는 호랑나비 애벌레, 번데기 기간을 넘어 날개짓을 할 수 있는 확률은 얼마일까? 호랑나비애벌레의 험난한 생태를 알고 난 후의 물음표이다. 비내리는 장맛철 호랑나비애벌레를 발견하고 6번이나 찾아가 그 생태를 관찰했다. 40분을 달린 후 곤자왈트레킹 3.5km 험한 길을 가야 만날 수 있었다. 애벌레가 없어져 안타까웠고, 그 옆나무로 이동한 것을 보고 안도했고 애벌레, 전용상태, 번데기로 변하는 과정의 신비로움을 관찰하고 마지막 우화 흔적을 보려고 설렘으로 달려갔는데 감쪽같이 사라졌다. 번데기가 매달려 있던 초피나무 자체가 없어졌다. 아마 누군가 우화과정을 혼자만 보려고 산초나무를 잘라갔는지? 허탈함과 야속함이 밀려온다. ㅠㅠ 1. 호랑나비애벌레 날짜별 관찰기록 호랑나비 날개짓 동영상 ..

♪ 제주살이 2020.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