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살이/제주고사리

[제주고사리 49, 50, 51] 고비고사리, 가지고비고사리, 개가지고비고사리

풀잎피리 2020. 7. 27. 22:24
728x90

 

고비고사리를 찾아 잎 뒤를 수없이 뒤집어 보았다.

애호랑나비애벌레를 찾아 족도리풀 잎 뒤를 무수히 뒤집어본 것처럼

고비고사리가 있다고 하여 애써 찾아갔지만 허탈한 마음을 가졌던 순간도 있다.

 

그런데 아주 우연히 고비고사리를 보았다.

잎 뒷면을 뒤집어본 순간, 앗! 고비고사리다~

얼씨구나 좋다, 핸폰으로 찍고 3일 후 다시 찾았다.

 

봉의꼬리과 고비고사리속은 3종이 있는데

제주에서 고비고사리속 3종을 모두 볼 수 있다.

가지고비고사리는 제일 흔하고, 개가지고비고사리, 고비고사리는 아주 드물게 보인다.

 

고비고사리 3종은 주로 맥으로 구분한다.

고비고사리는 유리맥, 가지고비고사리는 중륵 근처 망상맥

개가지고비고사리는 유리맥 + 드문드문 망상맥이다.

 

 

고사리 잎맥 (출처 / 국립수목원 한국양치식물도해도)

 

 

고비고사리 잎맥 / 차상유리맥

 

 

가지고비고사리 / 중륵근처 망상맥 + 차상맥

 

 

개가지고비고사리 / 차상유리맥 + 드문드문 망상맥

 

 

1. 고비고사리

 

고비고사리 자생 모습

 

 

 

고비고사리 전초 모습 / 윗쪽은 1회우상, 아래쪽은 2회우상복엽을 이룬다.

 

 

고비고사리 잎줄기

 

 

고비고사리 잎맥 / 망상맥이 없이 모두 유리맥이고, 측맥의 끝은 잎 가장자리에 이른다.

 

 

고비고사리 포자낭군 / 옆맥에 따라 길게 붙는다.

 

 

고비고사리 포자낭군 / 잎맥 길이의 2/3~4/5이다.

 

 

포자낭군 접사

 

 

고비고사리

학명 Coniogramme intermedia Hieron.

분류 봉의꼬리과(Pteridaceae) 고비고사리속(Coniogramme)

 

2. 가지고비고사리

 

 

가지고비고사리 자생 모습

 

 

가지고비고사리 새순

 

 

 

가지고비고사리 전초 모습

 

 

 

 

가지고비고사리 중륵

 

 

가지고비고사리 잎맥 / 중륵 근처에서 망상맥을 이루고, 맥의 끝은 가장자리에 이르지 못한다.

 

 

가지고비고사리 포장낭군 모습 / 12월

 

 

 

가지고비고사리 포자낭군 / 옆맥을 따라 길게 붙으며 잎 가장자리에 이르지 못한다.

 

 

 

가지고비고사리 포자낭군 접사 / 12월에 보니 포자가 모두 날아갔다.

 

가지고비고사리

학명 Coniogramme japonica (Thunb.) Diels

분류 봉의꼬리과(Pteridaceae) 고비고사리속(Coniogramme)

 

 

 

3. 개가지고비고사리

 

 

개가지고비고사리 / 고비고사리와 가지고비고사리의 잡종이다.

 

 

개가지고비고사리 잎맥 / 대개 유리맥이고 간혹 중륵 근처에서 서로 연결되어 드문드문 망상맥을 이른다.

즉, 잡종답게 고비고사리 성질과 가지고비고사리 성질을 모두 가졌다.

 

 

개가지고비고사리 자생 모습

 

 

개가지고비고사리 전초 모습

 

 

개가지고비고사리 새순

 

 

개가지고비고사리 잎 앞 뒷면

 

 

 

개가지고비고사리 포자낭군

 

 

 

개가지고비고사리 포자낭군 접사

 

 

겨울에 본 포자낭군

 

4월의 모습

 

개가지고비고사리

학명 Coniogramme × fauriei Hieron.

분류 봉의꼬리과(Pteridaceae) 고비고사리속(Coniogramme)

 

속명 Coniogramme는 줄무늬(conia)와 분말(gramme)을 뜻으로

선상의 포자낭군이 분상으로 보인다는 의미이다.

고비고사리속은 세계에 20여종이 있고, 우리나라에 2종, 1교잡종이 자란다.

1교잡종은 개가지고비고사리를 뜻하는데 학명에도 교잡(×) 표시가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