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 여행, 야생화/여행기

[제주여행 2일차] 공작이끼 - 마른 이끼가 공작새로 변신한 모습

풀잎피리 2025. 7. 16. 20:31
728x90

공작의 날개처럼 생긴 귀한 이끼이다.
제주에 오고 싶은 이유 중 하나였다.
가뭄으로 말라 비틀어져 물을 주고서야 잎을 폈다.

물을 주고 기다리자 서서히 공작새의 모습이 보인다.


 
제주공항에서의 당황함과 놀람을 딛고 
여러 번 전화를 걸어서야 일정을 잡았다.
토요일에는 영실에 오르는 계획도 세웠다.
 
제주 2일차는 공작이끼가 목표이다.
 꽃객 한 분의 차를 타고 한라산으로 향한다.
한라산에 걸린 구름이 제주의 일정에 희망을 주는 것 같다.
 
어리목에서 한 분을 더 만나 계곡으로 갔다.
바삭바삭한 바위가 그동안 가뭄이 얼마나 심했는지 알 것 같다.
풀 냄새가 아닌 먼지 냄새가 난다.
 
보물 계곡이 마른장마에 이렇게 달라졌다.
다른 계곡도 마찬가지다.
공작이끼가 있다는 자리에 공작이끼는 보이지 않는다.
 
마른 이끼들이 무슨 이끼인지 알 수가 없다.
식수로 가져온 물 반병을 주고 나서 한참을 기다렸다.
공작새가 날개를 펼치는 것처럼 서서히 그 모습이 드러났다.
 
처음 본 공작의 모습에 심취하여 눈을 뗄 수가 없다.
공작이끼, 드디어 내 눈이 확인했다.
새끼손가락 반만한 이끼에 마음을 쏟았다.
 
제주살이 마지막에 공작고사리를 본 것이 행운이라면
제주살이 후 첫 제주 방문에 공작이끼를 본 것은
공작새의 아름다움처럼 제주의 아름다움을 다시 보는 것 같다.
 
이어서 회목나무, 진저리고사리, 우산물통이, 으름난초, 남방꿩의다리, 두잎감자난초를 보았다.
다시 보는 제주의 식물들이 9개월간의 시차를 넘어 슬라이드처럼 지나간다.
2일차 제주는 제주에 온 목적의 첫 단추를 끼웠다.
 
(2025-06-29)
 
 

제주의 아침
검색하고 갔더니 휴일이라 시무룩해서 걷다가 발견한 식당에서 아침밥을 먹었다.
한라산으로 달린다.
매화노루발
나무 보도 속의 골무꽃
어리목
공작이끼 / 처음 모습
공작이끼 / 물을 주고 40분 후의 모습
물을 주고 기다리는 시간
공작이끼의 모습
아래에서 위로 본 모습
공작이끼가 다른 이끼들과 함께 살고 있다.
주저리고사리
호자덩굴 / 암꽃(좌), 수꽃(우)
회목나무
비가 오지 않는 제주가 이상하게 보인다.
으름난초
돌소리쟁이
쐐기풀
내장고사리
관중(좌), 나도히초미(우)
난티나무
우산물통이 암꽃
우산물통이 군락
광릉족제비고사리
푸른몽울풀
박새
폭포
산기장
두잎감자난초
남방꿩의다리
으름난초
한라산의 구름
저녁 / 3인 함께하려 했으나 식당이 휴무라 한 분은 서귀포로 가고, 둘이 제주로 와서 먹었다.

728x90